728x90
반응형

EXCEL 다루기 138

[ 응용 ] 열이 삭제 또는 추가되어도 Vlookup으로 찾을 수 있게 하기

들어가며  VLOOKUP 함수는 사용 빈도가 매우 높은 함수입니다.보통 데이터를 관리할 때 열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는 많이 없지만,이런 경우가 발생하면 VLOOKUP 함수는 전혀 엉뚱한 값을 반환합니다. 아래 그림은 VLOOKUP 함수를 사용하여이름을 기준으로 국어 점수를 찾는 함수식입니다. 만약 영어 점수에 해당하는 열을 지우거나영어와 수학 사이에 다른 열을 넣는 다면아래 그림과 같이 VLOOKUP 함수는 전혀 엉뚱한 값을 반환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VLOOKUP 함수가 제대로 동작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아래는 VLOOKUP 함수의 기본적인 활용방법을 다룬 블로그 링크입니다.엑셀 VLOOKUP 함수, 대응되는 값 불러오기엑셀 점수 구간 별 등급 메기기, VLOOKUP 함수VLOOKUP 함수 중복값..

EXCEL 다루기 2025.03.24

[ 기본 ] 엑셀 거듭제곱, 제곱근, 세제곱근, 네제곱근 계산하기

엑셀은 여러 기능이 있지만,계산기로써의 기능도 훌륭합니다. 간단한 사칙연산부터 복잡한 함수까지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계산의 기능 중 거듭제곱과 N제곱근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거듭제곱 계산하기 : ^ 기호 활용  엑셀에서는 캐럿(^) 기호를 사용하여 거듭제곱을 계산합니다. 이 기호는 SHIFT + 6으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가로 세로 높이가 10m X 10m X 10m인 방의 부피를 계산해 보겠습니다.부피는 가로 x 세로 x 높이 이므로10 x 10 x 10 = 1000이 됩니다. 이걸 엑셀 수식으로 입력하면다음과 같습니다.=10^3  다양한 차수의 루트 계산하기  제곱근을 계산할 때는 함수를 사용하면 됩니다.엑셀에서는 제곱근을 계산하는 SQRT 함수를 ..

EXCEL 다루기 2025.02.02

[ 함수 ] 엑셀 데이터, 정수와 소수 깔끔하게 분리하는 방법 : INT, TRUNC, MOD 함수

엑셀에서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포함한 숫자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때로는 정수 부분만 필요하고, 때로는 소수 부분만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이럴 때 일일이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편집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다행히 엑셀에는 이러한 작업을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함수들이 존재합니다.바로 INT, TRUNC, 그리고 MOD 함수입니다.이 세 가지 함수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면,엑셀 데이터 처리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이 블로그 포스팅에서는 엑셀에서 정수와 소수를 분리하는 다양한 방법과 각 함수들의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엑셀에서 정수와 소수 분리가 필요한 이유  데이터 분석 및 관리를 하다 보면, 숫자 데이터를 정수 부분과 소수..

EXCEL 다루기 2025.02.02

[ 함수 ] 엑셀에서 숫자 반올림, 올림, 내림 처리하는 방법 : ROUND, ROUNDUP, ROUNDDOWN

엑셀에서 숫자를 다룰 때 반올림, 올림, 내림과 같은 처리는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특히, 소수점 이하를 정리하거나 특정 단위로 값을 조정하는 작업이 필요할 때적합한 함수들을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엑셀에서 숫자를 반올림, 올림, 내림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과 각각의 함수 사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ROUND 함수: 숫자 반올림의 기본  ROUND 함수는 엑셀에서 가장 기본적인 반올림 함수로, 숫자를 특정 소수점 자리 나 원하는 단위로 반올림할 수 있습니다.ROUND 함수 구문 ROUND(반올림할 숫자, 반올림할 자릿수) 반올림할 자리수 사용 방법 - 양수: 소수점 이하 자릿수.  - 0: 정수로 반올림.  - 음수: 소수점 왼쪽 자리수로 반올림(정수 부분 반올림) 사용 예..

EXCEL 다루기 2025.02.02

[ 기본 ] 엑셀 함수의 인자 구분이 세미콜론(;)이 되는 문제 해결

엑셀 함수의 인자는 보통 콤마(,)로 구분이 됩니다.하지만 간혹 세미콜론(;)이 인자 구분 기호가 될 때가 있습니다. 엑셀은 국가마다 인자의 구분을 어떻게 할지 별도로 정해놓은 것으로 보이는데일부 국가에서는 세미콜론(;)이 인자의 구분기호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콤마(,)가 구분기호로 사용이 되는데이 구분기호가 갑자기 세미콜론(;)으로 바뀌면 익숙하지 않은 환경으로 불편함을 초래합니다.  함수의 인자 구분이 세미콜론(;)이 되는 이유  엑셀 함수의 인자 구분이 세미콜론(;)이 되는 이유는윈도우에서 지역 설정이 다른 국가로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지역 언어가 한국어(대한민국)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데언제 어떻게 설정을 잘 못 건드렸는지 몰라도한국어(북한)..

EXCEL 다루기 2025.01.28

[ 함수 ] 엑셀 FLOOR 함수 : 숫자 내림 계산하기, 숫자 내림 계산하는 쉬운 방법

엑셀의 FLOOR 함수는숫자를 사용자가 지정한 배수의 가장 가까운 아래쪽 정수로 내림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어딘가 납입하거나 구매할 금액이계약금액의 5%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계약금액이 254,000원일 때납입할 금액은 12,700원이 됩니다. 하지만 500원을 기준으로 납입해야 할 때납입할 금액은 12,500원입니다. 이걸 엑셀로 계산할 때 사용하는 함수가 FLOOR 함수입니다.  FLOOR 함수의 기본 구문  FLOOR 함수는 두 개의 인자를 갖고 있습니다.FLOOR(내리고자 하는 숫자, 내림할 기준이 되는 배수)  FLOOR 함수 사용 예시  앞에서 예시를 든 것과 같이12,700원이 1차 계산으로 도출되었을 때12,700원에서 500원이 넘는 부분은 버리고12,500원이 나오게 하려면 ..

EXCEL 다루기 2025.01.28

[ 응용 ] 엑셀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값 찾기, INDEX() 함수와 MATCH() 함수

여러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찾는 방법입니다.   준비하기  아래 그림과 같이 학급과 학생, 과목 그리고 해당 과목의 점수가 있는 데이터가 있습니다.학급, 학생, 과목을 조건으로 주었을 때해당 조건이 모두 만족하는 과목의 점수를 찾는 방법입니다.  함수식  INDEX() 함수와 MATCH() 함수를 사용하면위 그림처럼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는 값도 찾을 수 있습니다.INDEX()와 MATCH() 함수의 기본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INDEX() 함수 : Index() 함수※ MATCH() 함수 : Match() 함수※ INDEX() + MATCH() 함수값 찾기 기본 : Vlookup 보다 강력한 값 찾기 Index+Match 사용한 함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INDEX($D$2:..

EXCEL 다루기 2024.11.30

[ 기본 ] 맨 앞자리 0 표시하기, 전화번호 010 표시하기, 0으로 시작하는 숫자 표시하기

엑셀에 별다른 설정 없이 전화번호를 입력하면맨 앞자리 0이 표시가 되지 않습니다. 01011112222를 셀에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맨 앞자리 0을 표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이번 블로그에서는 엑셀의 옵션 설정을 통해맨 앞자리 0을 표시하는 방법을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맨 앞자리 0이 제거되는 이유  기본적으로 숫자를 표기할 때 맨 앞자리 0은 의미가 없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엑셀은 숫자의 맨 앞자리가 0이면의미 없는 숫자라고 생각하고 0을 자동으로 제거한 다음 숫자로 인식을 합니다.  맨 앞자리 0 표시하기  먼저 파일 → 옵션을 눌러 아래 그림과 같이Excel 옵션을 실행해 줍니다. 그다음 데이터 탭을 눌러줍니다.데이터 탭을 눌러 아래쪽을 살펴보시면선행 0을 제거하고 숫자..

EXCEL 다루기 2024.11.28

[ 응용 ] 엑셀 날짜 계산하기, 근무일수 계산하기, 주말 및 공휴일 포함 또는 제외

들어가며  아래 그림과 같이 업무의 시작일과 업무의 종료일이 있다고 했을 때며칠을 일했는지 총 업무일수(출근일수)를 계산하려 합니다.   총업무일 수 계산하기  총업무일 수를 계산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 DATEDIF() 함수 사용=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단위 옵션1. "Y": 완전한 년도2. "M": 완전한 월수3. "D": 일수4. "MD": 월 차이를 뺀 나머지 일수5. "YM": 년 차이를 뺀 나머지 월수6. "YD": 년 차이를 뺀 나머지 일수 아래 자료에서 다음과 같이 함수식을 입력하면 4가 출력됩니다.=DATEDIF(A2,B2,"D") DATEIF 함수는 첫 시작일은 제외하므로 함수식에 +1을 해주면 총 근무일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DATEDIF(A2,B2,"D..

EXCEL 다루기 2024.11.27

[ 응용 ] 엑셀 데이터 분류하여 인쇄하기, 팀별 부서별로 데이터 인쇄하기

하나의 시트에 모든 부서 또는 모든 팀들의 자료가 모아져 있을 때팀별 또는 부서별로 간단하게 인쇄하는 방법입니다. 부분합을 사용하면 간단하게 팀별 또는 부서별 자료를나누어 인쇄가 가능합니다.   준비하기  아래와 같이 반별 성적표를 준비했습니다.아래 시트 자료를 A반, B반, C반, D반 나누어 인쇄하려 합니다.  부분합 설정하기  먼저 아래 그림과 같이 데이터의 범위를 설정해 줍니다. 위 데이터 같은 경우는 모든 열이 붙어 있기 때문에위 그림과 같이 데이터 범위를 정해주어야 합니다. 만약 아래 그림과 같이 데이터의 열과그 외의 열이 연속되지 않고 떨어져 있다면데이터가 있는 부분의 아무 셀이나 선택한 상태로 다음 단계를 진행해도 됩니다.  인쇄 페이지 나누기  다음 데이터 → 부분합을 누르면 아래 그림과..

EXCEL 다루기 2024.11.21
728x90
반응형